하이트맥주 주식회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이트맥주 주식회사(과거 조선맥주 주식회사)는 1933년 삿포로 맥주의 다이닛폰 맥주에 의해 설립된 대한민국의 맥주 제조 회사이다. 1993년 '하이트' 맥주를 출시하여 국내 맥주 시장 1위를 달성했으며, 1998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했다. 2006년에는 진로를 인수하여 하이트진로그룹을 출범시켰고, 2011년 하이트진로 주식회사로 사명을 변경했다. 주요 제품으로는 하이트, 프라임 맥스, 하이트 d 등이 있으며, 스포츠 후원 및 일본 시장에도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이트진로그룹 - 우신고등학교 (서울)
우신고등학교는 1973년 개교하여 서울 강동구에 위치한 사립 고등학교로, 우천학원이 설립하고 진로주조 사장이었던 장학엽이 초대 이사장을 맡았으며, 2022년까지 26,772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 하이트진로그룹 - 참이슬
참이슬은 하이트진로에서 1998년 출시한 소주 브랜드로, 맑고 깨끗한 이미지를 위해 '이슬'에서 유래되었으며, 소비자 트렌드에 맞춰 도수를 낮추고 브랜드 이미지를 개선해 Fresh, Classic 등 다양한 라인업과 용량으로 판매된다. - 대한민국의 맥주회사 - 하이트진로
하이트진로는 2011년 하이트맥주와 진로의 합병으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대 주류 기업으로, 국내 주류 시장을 선도하며 다양한 브랜드로 국내외 시장에서 활약하고 해외 수출도 활발하지만, 소주 시장 과점 및 노조 갈등 등 사회적 책임에 대한 비판도 있는 기업이다. - 대한민국의 맥주회사 - OB 맥주
OB맥주는 1933년 오리엔탈 브루어리로 시작하여 두산그룹을 거쳐 인베브에 인수, AB인베브의 자회사가 되었으며, 카스, 카프리 등 인기 브랜드를 생산하며 한국 맥주 시장의 주요 업체로 자리매김한 맥주 회사이다. - 대한민국의 브랜드 - HDC현대산업개발
HDC현대산업개발은 1976년 현대그룹의 자회사로 설립되어 주택, 토목, 플랜트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며, 2001년 IPARK 아파트 브랜드를 론칭하고 HDC그룹의 모회사로 성장했으나, 2021년과 2022년 건물 붕괴 사고로 사회적 비판을 받았다. - 대한민국의 브랜드 - 제일기획
제일기획은 1973년 설립된 삼성그룹의 광고회사로, 하쿠호도와의 제휴를 시작으로 칸 국제광고제 수상 등 여러 국제적 광고상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해외 유수 광고대행사 인수를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다.
하이트맥주 주식회사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회사명 | 하이트맥주 주식회사 |
영문 회사명 | HITE BREWERY Co., Ltd. |
종류 | 주식회사 |
설립일 | 1933년 8월 9일 (최초 설립일) |
신규 창립일 | 2008년 7월 1일 (신 하이트맥주 창립일) |
해체일 | 2011년 9월 1일 |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 714 (청담동 132-12) |
국가 | 대한민국 |
산업 | 맥주 제조 및 판매 |
대표 제품 | 맥주 |
모기업 | 하이트진로홀딩스(주) |
종업원 수 | 1,687명 |
공식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생산 제품 | |
주요 맥주 | 하이트 (Hite) 프라임 맥스 (Prime Max) 하이트 스타우트 (Hite Stout) 엑스필 (Exfeel) |
관련 인물 | |
대표이사 회장 | 박문덕 |
2. 연혁
연도 | 내용 |
---|---|
1933년 | 삿포로 맥주와 아사히 맥주의 전신인 대일본맥주가 조선맥주 주식회사 설립[1][2][7][9], 크라운 맥주 첫 출시 |
1934년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공장 설립 및 맥주 출하 시작[8][9] |
1945년 | 광복 이후 대한민국 정부 관리 시작[3] |
1952년 | 크라운 맥주 브랜드 사용 시작 |
1962년 | 대한민국 최초 맥주 수출 시작 |
1975년 | 크라운 맥주 첫 디자인 변경 |
1981년 | 생맥주 크라운 생 시판 |
1986년 | 크라운 맥주 두 번째 디자인 변경 |
1993년 | 하이트(Hite) 맥주 첫 출시 |
1995년 | 하이트 500ml 캔 시판 |
1996년 | 생맥주 라이트생 시판, 대한민국 최초 250ml 하이트 캔맥주 시판, 맥주업계 시장 점유율 1위 달성 |
1998년 | 사명을 조선맥주에서 하이트맥주로 변경 |
2002년 | 하이트 生맥주 10L 출시, 하이트 맥주 누적 판매량 100억 병 돌파 |
2003년 | 하이트 피쳐 출시 |
2005년 | 하이트 피쳐 1000ml 대한민국 최초 출시, 하이트진로그룹 출범 |
2006년 | 소주 기업 진로 인수 |
2007년 | 하이트 맥주 누적 판매량 200억 병 돌파, 해외 사업본부 설립 및 중국 현지 법인 설립 |
2008년 | 하이트 미니 250ml 캔 출시, 지주회사 체제 전환 (하이트홀딩스-하이트맥주) |
2010년 | 드라이 맥주 hite d 출시 (44일 만에 1000만 병 판매)[10] |
2011년 | 5월: 대한민국 최초 세계 3대 주류 품평회 몽드셀렉션 금상 수상 9월: (주)진로와 통합하여 하이트진로 주식회사 출범[4] |
2. 1. 하이트맥주
1933년 8월, 삿포로 맥주와 아사히 맥주의 전신인 대일본맥주가 조선 시장을 겨냥하여 현지 자본과 절반씩 투자하여 자본금 600만 원으로 '''조선맥주 주식회사'''를 설립한 것이 시초이다.[7][9] 이 때문에 하이트 맥주 제품 라벨에는 "since 1933"이라는 문구가 표기되어 있다. 1934년 9월 경기도 영등포(현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공장을 설립하고[8] 그해부터 맥주를 출하하기 시작했다.[9]광복 이후 1945년, 대일본맥주의 자산은 한국 정부에 의해 관리되었고,[3] 1952년부터는 '크라운맥주'라는 브랜드 이름으로 맥주를 생산, 판매했다. 1962년에는 한국 최초로 맥주를 해외에 수출하기도 했다.
오랜 기간 동안 OB맥주에 이어 국내 시장 점유율 2위에 머물렀던 조선맥주는 1993년, "지하 150 천연 암반수로 만든 깨끗한 맥주"라는 점을 강조하며 '하이트(Hite)'를 출시했다. 하이트 맥주는 소비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으며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고, 이를 바탕으로 1996년에는 마침내 OB맥주를 제치고 국내 맥주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1992년 약 30%였던 시장 점유율은 2002년 55%까지 상승했으며, 같은 해 하이트 맥주 누적 판매량 100억 병을 돌파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시장 1위 등극 이후 회사 성장에 발맞춰 1998년, 사명을 조선맥주에서 '''하이트맥주'''로 변경했다. 2005년에 하이트진로그룹을 출범시켰고, 2006년에는 국내 대표 소주 기업인 진로를 인수하였다.[3] 2007년에는 해외 사업본부를 신설하고 중국에 현지 법인을 설립하는 등 해외 시장 공략에도 나섰다. 2008년에는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여 하이트홀딩스(지주회사)와 하이트맥주(사업회사)로 분리 운영되다가, 2011년 9월 (주)진로와 통합하여 현재의 하이트진로 주식회사로 새롭게 출범하였다.[4] 2010년 8월에는 드라이 맥주 '하이트 d(hite d)'를 출시하여 출시 44일 만에 1000만 병 판매를 기록하는 등[10], 2010년대 초반까지 국내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며 한국 대표 맥주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2010년부터는 일본 등 해외 시장에도 맥주 및 관련 음료를 수출하고 있다.
2. 2. 진로
진로는 1924년 평안남도 용강군에서 진천양조상회라는 이름으로 처음 설립되었다. 이후 서울특별시 영등포구로 이전하고 사명을 변경하는 등 성장을 거듭했다.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연도 | 내용 |
---|---|
1924년 | 평안남도 용강군에서 진천양조상회로 설립 |
1953년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길동으로 이전 |
1954년 | 사명을 성조, 청려로 변경 |
1966년 | 사명을 진로로 변경[4] |
1980년 | 국제 주류 품평회(IWSC) 6개 부문, 몽드 셀렉션 8개 부문 금상 수상 |
1998년 | 소주 제품 참이슬 출시 |
2006년 | 참이슬 누적 판매량 100억 병 돌파 |
진로는 1998년에 출시한 참이슬이 큰 성공을 거두며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소주 브랜드로 자리 잡았다. 2006년에는 하이트맥주에 인수되었으며,[4] 두 회사는 2005년 출범한 하이트진로그룹을 바탕으로 통합 작업을 진행하여 2011년 하이트진로 주식회사로 공식 출범했다.[4]
2. 3. 하이트진로
하이트맥주 주식회사는 2006년, 당시 인기 소주 제조사인 진로를 인수했다. 진로는 1924년 평안남도 용강군에서 진천양조상회로 출발하여, 1953년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길동으로 이전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후 성조, 청려로 등으로 사명을 변경하다가 1966년부터 '진로'라는 이름을 사용했으며, 1998년에는 대표 상품인 '참이슬'을 출시하여 2006년까지 누적 판매량 100억 병을 돌파하는 성과를 거두었다.한편, 하이트맥주의 전신인 조선맥주 주식회사는 1933년 8월, 삿포로 맥주와 아사히 맥주의 전신인 대일본맥주가 조선 시장을 겨냥하여 현지 자본과 절반씩 투자해 설립한 회사이다.[1][2][7][9] 1934년 9월 경기도 영등포(현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공장을 세우고 맥주를 생산하기 시작했으며,[8][9] 1945년 해방 이후 일본 자본의 자산이 정리되면서 '크라운 맥주'라는 이름으로 운영되었다.[3] 오랫동안 OB맥주에 이어 시장 2위에 머물렀으나, 1993년 "지하 150m 천연 암반수"를 내세운 '하이트(Hite)' 맥주를 출시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를 통해 OB맥주를 제치고 대한민국 맥주 시장 점유율 1위 자리에 올랐으며, 1998년에는 사명을 '하이트맥주'로 변경했다. 2010년에는 드라이 맥주인 'hite d(하이트 디)'를 출시하여 44일 만에 1000만 병 판매를 기록하는 등[10], 시장 선두 자리를 유지했다.
하이트맥주와 진로는 2005년 '하이트진로그룹'을 출범시키며 통합의 기반을 마련했고, 2006년 하이트맥주가 진로를 최종 인수했다. 2007년에는 양사의 수출 부문을 통합하여 해외 사업본부를 설립하고 중국에 현지 법인을 세우는 등 해외 시장 공략에도 나섰다. 2008년에는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여 하이트홀딩스(지주회사)와 하이트맥주(사업회사)로 분리 운영되다가, 2011년 9월 두 회사가 공식적으로 합병하여 현재의 '''하이트진로''' 주식회사로 새롭게 출범했다.[4]
3. 제품
하이트맥주(현 하이트진로)는 주력인 맥주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생산 및 판매하고 있다.
- '''석수와 퓨리스''' (Seok Su & Puriss Water): 하이트진로에서 생산하는 생수 브랜드이다.[1]
- '''하이트 소주''' (Hite Soju): 소주 브랜드로, 시장 점유율은 비교적 낮은 편이다. 이는 진로의 주력 소주 제품과는 구별된다.[1]
또한, 일본 시장 등을 겨냥하여 진로(구 진로 재팬)나 카와쇼 푸즈를 통해 수입·판매되는 제품들도 있다.[2]
- '''THE HITE''': 깔끔한 맛과 시원한 목넘김을 특징으로 하는 제3맥주이다. 진로가 수입·판매한다.[2]
- '''비키''' (Bikky): 과일향이 나는 맥주 맛 음료이다. 진로가 수입·판매한다.[2]
- '''프라임 드래프트''' (Prime Draft): 레귤러, 그린, 알코올 프리 버전이 있으며, 제3맥주 및 맥주 맛 음료 형태로 출시되었다. 진로가 수입하고 카와쇼 푸즈가 판매한다.[2]
주요 맥주 제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3. 1. 맥주
- '''하이트''' (Hite|하이트한국어)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맥주 중 하나이다.[1][2] 하이트 라거는 달콤한 맛과 황금색을 띠며, 엷은 바디감과 적은 거품이 특징이다. 버드와이저와 같은 미국의 쌀 라거를 모델로 하여 보리 맥아와 쌀로 양조된다.[1] 오비맥주의 OB, 카스와 함께 한국의 술집과 펍에서 생맥주로 자주 판매된다. 많은 소비자들이 이들 맥주의 가격과 맛이 거의 비슷하다고 여기는데, 이는 대부분의 한국 맥주가 쌀을 사용하여 양조되기 때문이다.[1] '아이스 포인트(Ice Point)'라 불리는 빙점 여과 공법으로 맥주의 불순물과 잡미를 제거했다고 홍보한다.[2] 알코올 도수는 4.3%이며[1], 일본에도 수출된다.[2]
- '''맥스''' (Max|맥스한국어) / '''프라임 맥스''' (Prime Max|프라임 맥스한국어)
한국 최초의 100% 맥아 맥주인 'Hite Prime'을 리뉴얼한 제품이 '맥스'이다.[2] '프라임 맥스'는 대한민국에서 세 번째로 인기 있는 맥주로 알려져 있으며,[1] 100% 맥아 보리로만 양조되는 한국 맥주 중 하나이다. 이 때문에 일반 하이트보다 가격이 약간 높으며, 더 복합적이고 밀향이 나는 풍미를 가진다.[1] 프라임 맥스의 알코올 도수는 4.5%이다.[1]
- '''하이트 스타우트''' (Hite Stout|하이트 스타우트한국어)
크리미한 드래프트 기네스와는 다른 스타일의 흑맥주로, 오리지널 기네스를 기반으로 하지만 더 달콤한 맛을 낸다.[1] 한국 유일의 프리미엄 흑맥주라고 홍보하지만,[2] 스타우트라는 이름과 달리 하면 발효 방식으로 제조되며 라벨에는 'LAGER TYPE'이라고 표기되어 있다.[2] 최근 몇 년간 인기가 감소하며 시장 점유율이 하락했다.[1] 알코올 도수는 4.5%이다.[1]
- '''S''' / '''엑스필 에스''' (Exfeel S|엑스필 에스한국어)
젊은 층을 겨냥한 라이트 맥주이다. '엑스필 에스'는 100ml당 0.5g의 섬유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알코올 도수는 4.0%이다.[1] 'S'는 '프리미엄 라이트 맥주'를 표방하며 알코올 도수를 3.8%로 낮추고 칼로리를 다른 제품의 3분의 2 수준으로 줄였다.[2]
- '''하이트 디''' (hite d|하이트 디한국어) / '''하이트 d 드라이 피니쉬''' (Hite d dry finish|하이트 d 드라이 피니쉬한국어)
덴마크의 Danbrew Alectia 사와 공동 개발한 드라이 맥주이다.[2] 엄선된 드라이 효모를 사용하여 깔끔한 끝맛(Dry Finish)을 특징으로 한다.[1] 알코올 도수는 5%이며[1], 일본에도 수출된다.[2]
3. 2. 기타
주력 상품은 현재 사명의 유래가 된 하이트(Hite)이지만, 드라이 맥주인 하이트 디(hite d), 맥아 100%의 맥스(Max) 등도 있다.- 하이트(Hite) - Ice Point(빙점 여과 공법)으로 맥주의 불순물과 잡미를 없앤 생맥주. 일본에도 수입되고 있다.
- 맥스(Max) - 한국에서 최초로 발매된 맥아 100% 맥주인 'Hite Prime'을 리뉴얼한 상품이다.
- 하이트 디(hite d) - 덴마크의 Danbrew Alectia 사와의 공동 개발을 통해 탄생한 드라이 맥주. 일본에도 수입되고 있다.
- S - 프리미엄 라이트 맥주로, 알코올 도수를 3.8%로 낮추고 칼로리를 다른 제품의 3분의 2로 낮춘 것이 특징이다.
- 스타우트(Stout) - 한국 유일의 프리미엄 흑맥주이다. 스타우트라는 명칭을 사용하지만, 하면 발효 방식으로 제조되며 라벨에는 'LAGER TYPE'이라는 표기도 있다.
4. 스포츠 후원
하이트맥주는 1990년대에 축구팀인 포항 아톰즈를 후원했다.
또한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임단인 하이트 엔투스를 후원했다.[5] 2011년 5월 4일, 하이트와 엔투스의 계약이 만료되어 갱신되지 않았다고 발표되었다. 팀은 CJ 엔투스로 팀명을 변경하여 복귀를 발표했다.[6]
5. 시장 경쟁
2016년 현재, 대한민국 맥주 제조 시장은 하이트맥주(구·조선맥주)와 OB맥주(구 동양맥주)의 양강 구도로 이루어져 있다. 1994년, "CASS" 브랜드를 내세운 진로 쿠어스가 시장에 새로 진입하면서 한때 3개 회사가 경쟁하는 체제가 형성되기도 했다. 그러나 1999년 진로 쿠어스가 OB맥주에 매각되면서 시장은 다시 2개 회사 체제로 재편되었다. 한편, 진로 쿠어스의 출자 회사였던 진로는 2006년 하이트맥주에 인수되어 하이트진로가 되었다.
6. 일본 시장 진출
2010년 이후 일본 시장에도 맥주 및 관련 음료를 수출하고 있다.[10] 일본에서 판매되는 주요 제품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1933 Merger with Nippon Beer Kosen Co., LTD. | History | SAPPORO BREWERIES
https://www.sapporob[...]
[2]
PDF
https://pdf.medrang.[...]
2024-08-00
[3]
웹사이트
(500) Debut of Beer
https://www.koreatim[...]
2008-08-07
[4]
웹사이트
http://www.jinro.co.[...]
[5]
웹사이트
CJ Entus
https://www.facebook[...]
2013-10-18
[6]
웹사이트
Hite Entus turning back to CJ Entus
http://www.teamliqui[...]
Teamliquid.net
2011-05-04
[7]
서적
株式投資年鑑
https://books.google[...]
経済情報社
1937-00-00
[8]
서적
施政二十五年史
https://books.google[...]
朝鮮総督府
1935-00-00
[9]
웹사이트
http://www.sakebunka[...]
[10]
PDF
『hite d(ハイト ディー)』、5 月中旬出荷開始!
http://www.jinro.co.[...]
[11]
뉴스
같은 코로나19에 천양지판 ‘맥주 兩强’…하이트진로 ‘최대 실적’ vs 오비 ‘희망퇴직’
https://news.naver.c[...]
매경이코노미
2020-10-19
[12]
뉴스
유명 漫畵(만화)주인공 캐릭터 도입
https://newslibrary.[...]
매일경제
1992-08-20
[13]
뉴스
광고도 이제'캐릭터'로 승부
https://newslibrary.[...]
한겨레신문
1997-08-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